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0

USART, UART차이점 정리/ 시리얼 통신(USART) 정리: 클락의 유무 (유:USART, 무:UART) USART(Universal Synchronus/asynchronous R T) = 범용 동기/비동기화 송수신 (반이중) : 데이터 동기화를 위해 별도 클록 신호 전송. 클락의 유무만 체크하여 데이터 송수신, 효율이 높고 동기식이라 속도도 빠름, 클락 핀때문에 비싸고 어려움 클락때문에 데이터, 타이머가 모두 필요하고 속도가 고정되어 있음(빠름), 데이터를 일반적인 블럭 형태로 전송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 (전이중) : 데이터만 보냄. 데이터 시작과 끝을 알기 위해 Start Bit(항상 0), Stop Bit(항상 1)가 필요함 (+오류검출 Pariry비트) 속도가.. 2022. 9. 28.
stm32 기본/ LED toggle 1. LED toggle while안에 HAL_GPIO_TogglePin (LD2_GPIO_Port, LD2_Pin); HAL_Delay (500); HAL library 사용, LD2(PA5) - GPIO로 설정되있는거 확인 +) RCC란 RCC: 오실레이터를 하드웨어적으로 16MHz적용해도, STM32는 32비트라 내부 PLL회로를 거쳐 더 높은 클럭을 만들어 낼 수 있음. 그걸 설정하는 게 RCC임 지금은 일단 Disable로 설정하고 실습 STM32 시스템에 클럭을 공급하는 방법은 HSI, HSE, PLL 이 있는데, PLL은 다시 그 소스로 HSI를 사용하는 방법과, HSE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클럭설정 F103 시리즈 최대 클럭은 72MHz, 하지만 내부 클럭으로는 64MHz까지 가능.. 2022. 9. 28.
STM32/ 패리페럴 기본 지식 패리페럴들을 제어하려면 레지스터 설정부터 해야함. 레지스터 레지스터란 전자기기의 패널과 같은 것,, ex)공기청정기 키려면 전원 누르고 세기 강으로 선택 등.. 즉, 레지스터: 기능들을 조작하고 어떤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 Control 레지스터: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존재 Status 레지스터: 어떤 상태인지 알려줌 레퍼런스 매뉴얼을 보고 모듈(기능)의 Base Address(메모리 주소) 체크 ex) 0xF010 0000~ F019 FFFF GTM_TOM0_TGC0_GLB_CTRL 레지스터를 세팅하려면 해당 레지스터 Start Address 찾기 r: read w: write rw: read/ write 해당 비트를 SW로 할 수 있는 것들의 상태 표시 그리고 해당 메모리에 접근하여 .. 2022. 9. 28.
Matlab 기본. 그래프 그리기 - 행렬(Matrix) 말 그대로 행, 열을 나타낸다. (m, n)=(가로줄 개수, 세로줄 개수) -> m by n행렬 - Matlab은 명령어 하나 하고 엔터치면 바로 실행됨. 이 때 명령어 끝에 ; 달아주면 결과 표시는 하지 않고 입력만 됨 - Matlab에서 행렬 만들기 . 대괄호 안에 숫자 넣으면 됨.(띄우면 가로방향 추가, ;는 세로방향 다음 행으로 내리기) . 기본적으로 대괄호만 하면 ans변수에 저장됨. . 행렬 이름 저장해서 만들려면 A = [1 2;3 4]처럼 만들기 +) 행렬 명령어. . 단위행렬(identity matrix) : 1행1열부터 대각 성분은 1, 나머지는 0인 행렬 ㄴ 명령어: eye(n) -> ex)eye(10) : 크기는 10by10이면서 단위행렬이 만들어짐 . zer.. 2022. 9. 8.
복소평면, 극좌표, 오일러 공식 오일러 공식 :eiθ=cos(θ)+isin(θ) +) Euler's equation 가장 아름다운 공식 이라고 교수님께서 말하신다.. 오일러 공식이 갖는 의미는 오일러 공식에 대해 deep하게 알고 싶으면 이 블로그를 참조하면 좋을 것 같다. https://angeloyeo.github.io/2020/07/07/Euler_Formula.html (공돌이의 수학 노트) 오일러 공식 2022. 9. 8.
키르히호프의 법칙 (KCL, KVL)/ 노드,루프 해석법 1.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KCL, Kirchhoff's Current Law): 한 노드로 흘러 들어가는 전류의 합은 그 노드에서 나가는 전류의 합과 같다. (by 전하량 보존 법칙...) -> 주로 노드(마디)해석법에서 사용한다. -> 흘러 들어가는 전류를 +라고 하면 나가는 전류는 자연스럽게 -가 된다. 이런 식으로 방향 기준을 잡고 한 노드의 전류를 다 더하면 0이 나온다. 한 노드에 연결된 가지(branch)의 수를 N이라 하고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이 때, 노드 여러 개를 묶어 BIG Node(=Super Node)로도 계산할 수 있다. 예제는 다음과 같다. 파란 네모로 표시한 것이 노드 두 개를 묶은 Super Node이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위 사각형은 Super Node가 아.. 2022. 9. 8.